[AWS] AWS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 - ➀ EC2 인스턴스 생성

2024. 5. 19. 23:16· AWS
목차
  1. AWS EC2 인스턴스 생성
  2. 탄력적 IP 할당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EC2 서버를 통한 프로젝트 배포하는 방법을 정리할려고 합니다. AWS는 Amazon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입니다. 우리는다양한 방법으로 프로젝트를 배포할 수 있지만 컴퓨터를 항상 작동시켜야하며, 이 외에도 귀찮은일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AWS는 간단하게 서버 장비를 대여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덕분에 편리하게 배포와 관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AWS뿐만 아니라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지만 많은 국내에서는 AWS 점유율이 압도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AWS를 이용하여 배포하는 방법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AWS EC2 인스턴스 생성

EC2(Elastic Compute Cloud) : AWS에서 제공하는 성능,용량 등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버

EC2의 이름은 Elastic Compute Cloud에서 C가 2개가 있어 C2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AWS에서는 대부분 첫 글자가 중복되면 숫자로표기합니다. 비슷한 예로 AWS의 S3는 Simple Storage Service를 줄여 S가 3개라고 S3입니다.    

 

AWS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프리티어 플랜에서는 EC2 사용에 다음과 같은 제한이 있습니다.

  • 사양이 t2.micro만 가능합니다.
    • vCPU(가상CPU) 1Core, 메모리 1GB 사양입니다.
    • 보통 vCPU는 물리 CPU 사양의 절반 정도의 성능을 가집니다.   
  • 월 750시간의제한이 있습니다. 초과하면 비용이 부과됩니다.
    • 24시간*31일 = 744시간입니다.
    • 즉, 1대의 t2.micro만 사용한다면 24시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region 설정

EC2를 만들기 전에, 본인의 리전을 확인해서 서울로 되어있지 않다면(보통은 처음 리전이 오아이주로 선택됩니다.)

서울 로 변경합니다.

리전(region)이란 AWS의 서비스가 구동될 지역을 이야기합니다. AWS는 도시별로 클라우드 센터를 지어 해당 센터에서 구축된 가상머신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걸 리전이라고 합니다. 

 

 

2. 인스턴스 시작

ec2 대시보드 -> 인스턴스 -> 인스턴스 시작

 

3. AMI(Amzon Machine Image) 선택

- 리눅스 사용하기 위해  Amazon Linux 선택

- 프리 티어 사용 가능한 Amazon Linux 2 AMI (HVM) - Kernel 5.10, SSD Volume Type 선택

AMI란? EC2 인스턴스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이미지로 만들어 둔 것

 

4. 인스턴스 유형 선택

프리티어에서 사용 가능한 t2.micro 선택

- t2는 요금 타입, micro는 사양을 의미
- T 시리즈(t2, t3 등)는 범용 시리즈라고 불리기도 하며, 다양한 사양을 사용할 수 있음
- T 시리즈는 크레딧이란 일종의 CPU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개념이 있음 
- 인스턴스 크기에 따라 정해진 비율로 CPU 크레딧을 계속 받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크레딧을 축적, 사용할 때 크레딧 사용
- 정해진 사양보다 높은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면 크레딧을 좀 더 적극적으로 사용해 트래픽을 처리하지만, 크레딧이 없을 경우 EC2 사용 불가

 

 

5. 키 페어

새 키 페어 생성 -> 키 페이 이름 설정 후 키 페어 설정 하면 .pem 형식의 파일이  다운로드 됨 -> 생성한 키 페어로 설정

- 인스턴스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pem 키(비밀키)가 필요합니다. 인스턴스는 지정된 pem 키(비밀키)와 매칭되는 공개키를 가지고 있어, 해당 pem키 외에는 접근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 일종의 마스터키이기 때문에 절대 유출되면 안 됩니다.
- pem키는 이후 EC2 서버로 접속할때 필수 파일이니 잘 관리할수 있는디렉토리로 저장합니다.   
- ⚠️ 주의! 키는 재발급이 안됨!

 

 

6. 네트워크 설정, 고급 세부 설정, 스토리지 설정

네트워크 설정/ 고급 세부 설정/스토리지 설정은 기본값 유지

- 스토리지는 하드 디스크라고 부르는서버의 디스크(SSD포함)을 이야기하며 서버의 용량을 얼마나 정할지 선택
- 기본값은 8GB이며, 프리티어에서 30GB까지 사용 가능  

 

7. 인스턴스 시작

모든 설정 다 끝낸 후 인스턴스 시작 -> 생성된 인스턴스 상태가 실행중이면 성공! 

  

 


 

탄력적 IP 할당하기

- AWS의 고정 IP를 Elastic IP(EIP, 탄력적 IP)라고 한다.
- 일반적으로 인스턴스를 중지했다가 다시 시작하면 IP 주소가 바뀌는데, 탄력적 IP(고정 IP)를 할당하면 해당 IP가 유지된다. 

 

1. 탄력적 IP 페이지 이동 및 새 주소 할당

[네트워크 및 보안] 탄력적 IP -- 탄력적 IP 주소 할당 -- 할당

(*탄력적 IP 주소 할당에서 따로 변경사항 없음 바로 할당 누르면 된다)    

 

 

2. 생성된 IP 주소 체크 후 작업 -- 탄력적 IP 주소 연결

 

 

3. 연결할 인스턴스와 프라이빗 IP 주소 를 선택하고 완료

 

4. 완료 후 인스턴스 정보를 보면 탄력적 IP가 부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 - ④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war 파일)  (0) 2024.05.21
[AWS] AWS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 - ③ Mobaxterm으로 EC2 접속 / 웹 서버 구축  (0) 2024.05.20
[AWS] AWS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 - ② 보안 그룹 생성하기  (0) 2024.05.20
  1. AWS EC2 인스턴스 생성
  2. 탄력적 IP 할당하기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AWS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 - ④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war 파일)
  • [AWS] AWS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 - ③ Mobaxterm으로 EC2 접속 / 웹 서버 구축
  • [AWS] AWS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 - ② 보안 그룹 생성하기
noeul.log
noeul.log
새싹 개발자의 개발일지
noeul.log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noeul.log
전체
오늘
어제
  • 전체보기 (55) N
    • Back-end (22) N
      • Spring Web Project (16)
      • Spring (2)
      • Java (3) N
    • DB (1)
      • Oracle (1)
    • CS (2)
      • 🛠️ 컴퓨터 구조 (0)
      • 🛠️ 운영체제(OS) (1)
      • 🛠️ 시스템 소프트웨어 (0)
      • 🛠️ 네트워크 (1)
      • 🛠️ 소프트웨어 공학과 협업 프로세스 (0)
    • AWS (4)
    • GitHub & Git (6)
    • 프로그래머스 (12) N
    • 취뽀여정 (2)
    • IT 알쓸신잡 (2)
    • Tistory 튜토리얼 (2)
    • IT 도서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글쓰기

공지사항

인기 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1
noeul.log
[AWS] AWS EC2 서버에 프로젝트 배포 - ➀ EC2 인스턴스 생성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