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생성과 Dummy(더미) 데이터 생성
SQL Developer를 이용해서 PART 1에서 작성한 book_ex 계정을 통해서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게시물은 각 게시물마다 고유의 번호가 필요합니다. 오라클의 경우 시퀀스(sequence)를 이용해서 이러한 작업을 처리합니다.
시퀀스를 생성할 때는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오브젝트들과 구분하기 위해서 'seq_'와 같이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테이블을 생성할 때는 'tbl_'로 시작하거나 't_'와 같이 구분이 가능한 단어를 앞에 붙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tbl_board 테이블은 고유의 번호를 가지기 위해서 bno 칼럼을 지정했고, 제목(title), 내용(content), 작성자(writer)를 칼럼으로 지정합니다. 테이블을 설계할 때는 가능하면 레코드의 생성 시간과 최종 수정 시간을 같이 기록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생성 시간(regdate)과 레코드의 최종 수정 시간(updatedate) 칼럼을 작성합니다. 이때 기본값으로 sysdate를 지정해서 레코드가 생성된 시간은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게 합니다.
테이블의 생성 이후에는 'alter table...'을 이용해서 테이블에 Primary Key(이하 PK)를 지정해 주었습니다. PK를 지정할 때 'pk_board'라는 이름을 부여하는데, 이 이름은 뒤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므로 반드시 의미를 구분할 수 있게 생성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더미 데이터의 추가
테이블을 생성하고 나면 여러 개의 데이터를 추가해 주는데 이런 의미 없는 데이터를 토이 데이터(toy data)
혹은 더미 데이터(dummy data)
라고 합니다. 게시물이 많을수록 유용할 수 있지만,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방식을 이용해서 더미 데이터를 추가합니다.
tbl_board의 bno 칼럼은 매번 새로운 값이 들어가야 하므로 seq_board.nextval을 이용해서 매번 새로운 번호를 얻습니다. regdate와 updatedate 칼럼은 기본으로 현재 시간이 들어가므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데이터를 insert 한 후 주의해야 하는 점이 commit 입니다. MySQL과 달리 오라클의 경우에는 데이터에 대한 가공 작업 후 반드시 commit을 수동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명령어를 이용해서 commit을 해 주거나 화면 위쪽에 있는 버튼을 이용해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insert를 여러 번 실행한 후에는 'select'문을 이용해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 확인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insert 작업이 끝난 후에는 반드시 데이터베이스를 commit 해야 합니다. 오라클의 경우 MySQL과 다르기 때문에 수동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Back-end > Spring Web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Web Project] 영속/비즈니스 계층의 CRUD 구현 - 영속 계층의 구현 준비 (0) | 2023.11.29 |
---|---|
[Spring] 스프링 MVC 프로젝트의 기본 구성(1) (0) | 2023.11.24 |
[Spring Web Project] 스프링 MVC의 Controller(4) - Controller의 예외 처리 (0) | 2023.11.24 |
[Spring Web Project] 스프링 MVC의 Controller(3) - 파일 업로드 처리 (0) | 2023.11.24 |
[Spring Web Project] 스프링 MVC의 Controller(2) - Controller의 리턴 타입 (1) | 2023.11.21 |
테이블생성과 Dummy(더미) 데이터 생성
SQL Developer를 이용해서 PART 1에서 작성한 book_ex 계정을 통해서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게시물은 각 게시물마다 고유의 번호가 필요합니다. 오라클의 경우 시퀀스(sequence)를 이용해서 이러한 작업을 처리합니다.
시퀀스를 생성할 때는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오브젝트들과 구분하기 위해서 'seq_'와 같이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테이블을 생성할 때는 'tbl_'로 시작하거나 't_'와 같이 구분이 가능한 단어를 앞에 붙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tbl_board 테이블은 고유의 번호를 가지기 위해서 bno 칼럼을 지정했고, 제목(title), 내용(content), 작성자(writer)를 칼럼으로 지정합니다. 테이블을 설계할 때는 가능하면 레코드의 생성 시간과 최종 수정 시간을 같이 기록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생성 시간(regdate)과 레코드의 최종 수정 시간(updatedate) 칼럼을 작성합니다. 이때 기본값으로 sysdate를 지정해서 레코드가 생성된 시간은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게 합니다.
테이블의 생성 이후에는 'alter table...'을 이용해서 테이블에 Primary Key(이하 PK)를 지정해 주었습니다. PK를 지정할 때 'pk_board'라는 이름을 부여하는데, 이 이름은 뒤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므로 반드시 의미를 구분할 수 있게 생성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더미 데이터의 추가
테이블을 생성하고 나면 여러 개의 데이터를 추가해 주는데 이런 의미 없는 데이터를 토이 데이터(toy data)
혹은 더미 데이터(dummy data)
라고 합니다. 게시물이 많을수록 유용할 수 있지만,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방식을 이용해서 더미 데이터를 추가합니다.
tbl_board의 bno 칼럼은 매번 새로운 값이 들어가야 하므로 seq_board.nextval을 이용해서 매번 새로운 번호를 얻습니다. regdate와 updatedate 칼럼은 기본으로 현재 시간이 들어가므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데이터를 insert 한 후 주의해야 하는 점이 commit 입니다. MySQL과 달리 오라클의 경우에는 데이터에 대한 가공 작업 후 반드시 commit을 수동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명령어를 이용해서 commit을 해 주거나 화면 위쪽에 있는 버튼을 이용해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insert를 여러 번 실행한 후에는 'select'문을 이용해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 확인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insert 작업이 끝난 후에는 반드시 데이터베이스를 commit 해야 합니다. 오라클의 경우 MySQL과 다르기 때문에 수동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Back-end > Spring Web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Web Project] 영속/비즈니스 계층의 CRUD 구현 - 영속 계층의 구현 준비 (0) | 2023.11.29 |
---|---|
[Spring] 스프링 MVC 프로젝트의 기본 구성(1) (0) | 2023.11.24 |
[Spring Web Project] 스프링 MVC의 Controller(4) - Controller의 예외 처리 (0) | 2023.11.24 |
[Spring Web Project] 스프링 MVC의 Controller(3) - 파일 업로드 처리 (0) | 2023.11.24 |
[Spring Web Project] 스프링 MVC의 Controller(2) - Controller의 리턴 타입 (1) | 2023.11.21 |